본문 바로가기
IT Story/Internet

5G 상용화 1위 하지만 5G 속도 3위, 8개 나라의 5G 속도 비교

by 글쓰니˚ 2019. 7. 15.
반응형

5G 상용화는 1위, 5G 속도는 3위

 

안녕하세요. 은하가 입니다.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시작한지 시간이 제법 지났데요. 현재 2019년 7월15일 기준으로 5G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한 국가는 모두 8개의 나라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우리나라 속도와 망 연결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기지국을 설치하고 있는데요. 과연 8개의 나라 중 속도가 제일 빠른 나라는 어디일까요?

 

5G 속도는 어느 나라가 제일 빠를까?

 

영국의 무선 네트워크 품질 평가 기관인 오픈 시그널에서 5G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한 국가는 모두 8개 나라로 파악되었다고 보도 했습니다. 저희가 포함되어 있는 아시아에서는 한국과 아랍에미리트가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다른지역으로는 미국, 그리고 5 나라는 모두 유럽 국가들이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오픈 시그널은 2019년 4월부터 6월 말까지 5G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한 8개의 나라에서 5G 최고 다운로드 속도를 측정하였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최고 다운로드 속도를 측정한 결과 1위는 미국, 2위는 스위스, 3위는 한국 순으로
빨랐습니다. 

 

 

1위는 미국이였다.

 

미국 일상생활에서 최고 다운로드 속도는 1815 Mbps로 4G 보다 2.7배 정도 빠른것으로 측정되었습니다. 다음으로 스위스는 실제 다운로드 속도는 1145Mbps로 나타났으며 4G보다 약 2.6배 빠른 것으로 측정되었습니다. 한국의 5G 최고 다운로드 속도는 1071Mbps로 4G의 최고 다운로드 속도인 619Mbps보다 약간 빠른 450Mbps 정도로 측정되었는데요. 미국, 스위스와 비교하면 5G와 4G의 속도 차이가 크지 않았습니다.

 

호주는 4G가 더 빨랐다?

 

다른 나머지 국가들은 대부분 유럽 국가인데 5G 속도와 4G 속도 차이가 거의 없거나 다운로드 속도가 조금 더 빨랐습니다. 영국의 경우에는 5G와 4G의 다운로드 속도 차이가 200Mbps 정도였고, 스페인은 5G의 최대 다운로드 속도가 602Mpbs로 4G와 최대 다운로드 속도 차이가 6Mpbs 밖에 차이가 없었습니다. 특이하게 호주는 5G 속도보다 4G의 속도가 더 빠르게 측정되었습니다.

 

같은 5G 서비스인데 왜 속도 차이가 날까?

한국과 미국이 사용하는 주파수가 틀리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그 이유는 사용하는 주파수가 다르기 때문에 속도 차이도 차이가 나는 것입니다. 현재 5G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는 크게 두 가지인데요. 2-4GHz의 중대역 주파수와 28GHz 안팎의 초고주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대부분의 국가들은 중대역 주파수를 사용하고 미국은 초고주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우리보다 빠른 이유는 초고주파를 사용하고 있고 통신사에 할당되는 대역폭도 800MHz로 더 넓기 때문입니다.  대역폭은 쉽게 비유해 고속도로로 비유할 수 있는데요. 대역폭이 넓으면 차선수가 더 많다는 얘기고 결국 동시에 더 많은 차량이 달릴 수 있습니다. 차량을 데이터라고 생각하면 같은 시간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같은 데이터를 전송하면 시간은 더 짧아집니다.

 

국내 이통 3사 5G 주파수

 

우리나라 통신사는 3.5GHz대 주파수에서 80~100MHz의 대역폭을 사용합니다. 이론적으로 8배까지 빠르지만 주파수는 높을수록 직진성이 강해져 장애물에 대한 투과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투과성이 떨어지게되면 실제 속도에서도 차이가 나타나게 되는것 입니다. 유럽 국가은 2GHz ~ 4G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우리와 비슷한 중대역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통신사에 할당된 대역폭이 40MHz로 상대적으로 좁아 큰 속도 개선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나라의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사용하는 주파수가 틀려지면서 5G 속도가 차이가 있었는데요. 5G 상용화가 되면서 속도도 속도지만 끊기지 않는 안정적인 5G 서비스가 필요해 보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